본문 바로가기

Posts by PinkWink

(1381)
Ubuntu 20.04 (Mint 20.1) CUDA 11.1, cuDNN 8.0.5, Tensorflow 2.4 2021. 2. 17. 08:00 이번에는 우분투 20.04에서 CUDA 11.1과 cuDNN 8.0.5를 설치하고 이어서 Tensorflow 2.4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화면은 이미 눈치를 채셨을 수도 있지만, 우분투 20.04에 대응하는 Mint 버전인 Mint 20.1 Ulyssa에서 저는 진행했습니다. Ubuntu Focal과 Mint Ulyssa는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위 영상에서도 동일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먼저 cuda toolkit 11.1을 검색합니다. 구글신님을 이용해서~ 오늘 설치할 버전은 CUDA Toolkit 11.1 update 1을 받습니다. 위 그림처럼 Linux -> x86_64 -> Ubuntu -> 20.04를 차례로 선택합니다. 그리고 runfile [local]을 선택..
Noetic에서 catkin tools 설치 및 alias 설정 2021. 2. 16. 08:00 본 내용은 제 평상시 저의 ROS 스승님으로 생각하고 있는 ahnbk.com님의 도움을 매우~ 받았습니다.^^. 지난번에 Noetic을 설치하는 과정을 이야기했는데요. 그리고 catkin tools를 이번에는 설치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습니다. 그 과정을 짧지만 정리해 둡니다. 요즘 유투브에 동영상을 올릴때 사용하는 첫화면인데.. 아직까지는 마음에 듭니다.^^ 넵. 지난번 Noetic 설치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먼저 sudo apt install python3-osrf-pycommon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sudo apt insall python3-catkin-tools를 설치합니다. 음.. 이게 끝입니다.^^ 이제 워크 스페이스에서 catkin init을 하고 아무런 소스코드가 없어서 그냥 ..
Ubuntu에서 venv를 이용해서 Python 환경 만들기 2021. 2. 15. 08:00 Python을 가지고 뭘 할때 제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중에는 아나콘다가 있습니다. 아나콘다를 설치하고 conda 환경을 만들면 쉽게 다양한 파이썬 환경을 만들 수 있죠. 그런데 conda를 사용하기 조금 어려울때가 있습니다. 안되는건 아닌데 약간 어려울때가 있죠. 저한테는 ROS를 사용할 때입니다. ROS를 사용할때 약간의 어려움이 있거든요. 그 때 선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은 venv입니다. 본 글의 동영상입니다. 일단 먼저 pip를 항상 최신버전으로 유지하세요. pip3 install --upgrade pip 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python3의 버전이 3.6인건 ubuntu 18.04여서 그렇구요. Ubuntu 20.04여도 괜찮습니다. 위 그림처럼 python3 -m venv..
Ubuntu20.04(Mint 20.1)에서 CUDA 및 Tensorflow 설정 2021. 2. 13. 08:00 제가 가지고 있는 Sub 노트북은 델의 GTX1650이 탑재된 모델입니다. 제 16인치 i9급 맥북과 가격은 비슷(^^)하지요. 저의 맥북으로 mnist 데이터셋을 돌리는 시간의 7분 1 정도 빠르게 동작합니다.^^. 이번에는 제가 새로 Mint20.1을 설치하면서 델 노트북에 설치하면서 설정한 CUDA와 CUDNN설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아시겠지만, 이 글은 추후에 제가 다시 보려는 의도가 더 강합니다.^^ 먼저 설치 OS는 Mint20.1입니다. Mint20.1 Ulyssa는 Ubuntu 20.04 Focal에 대응합니다. 거의 똑 같아서 몇 가지만 유의하면 우분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Mint20.1 Ulyssa가 잘 설치된 상황에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 어떻게든 먼저 잘 지우자..
SSH로 접근할때 remote identification 에러 대응 2021. 2. 1. 08:00 SSH를 사용해서 원격 PC에서 외부 장비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만약 IP가 동일한데 장비가 바뀐다든지, 혹은 해당 장비를 포맷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재설정을 해버리는 경우 만나게 되는 에러가 REMOTE Identification 에러입니다. 이렇게 나타나는데요. 이럴때는 해결 방법이 간단합니다~ 바로 ssh-keygen -R 명령으로 해당 아이피 인증을 초기화하면 됩니다.~~~
라즈베리파이의 라즈비안에 ROS melodic 버전에서 YDLIDAR 설치하기 2021. 1. 29. 08:00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의 OS인 라즈비안에 ROS melodic 버전에서 YDLIDAR를 설치하는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라즈비안은 ROS의 설치나 바이너리 패키지를 추가해야하는 경우 소스를 받아서 빌드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그 과정을 지난번에 이야기를 했죠.위에 보이는 라즈베리파이4에 ROS melodic 설치하기를 먼저 따라해야 합니다. 해당 글을 따라한다음~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의 OS인 라즈비안에 ROS melodic 패키지 추가하기라는 글에서 한데로 몇몇 패키지를 추가해야 합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ssh로 첩근합니다. 내 라즈베리파이의 ip는 라즈베리파이로 부팅해서 ifconfig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처음 접근하는 거라면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어 둡니다.그리고 나서 워크스페이스의 src..
터미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파일 관리기 Midnight Commander 2021. 1. 26. 23:16 혹시 예전에 도스(DOS)시절에 mdir이라는 툴을 아시나요? mdir의 재미있는 비화가 있는데 그건 나무위키의 mdir 문서를 보세요. 아무튼 우리가 터미널에서 작업할때 직관적이고 편리한 파일관리툴이 간절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SSH로 접근했을때는 더하죠~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midnight commander입니다. 이쁘게 생겼죠?^^ 일단 상황을 ssh로 내가 원격으로 다른 pc에 들어갔다고 하죠~ 주로 젯슨나노나 라즈베리파이 같은 장비로 접근하겠죠. 여기서 sudo apt install mc 명령으로 먼저 midnight commander를 설치합니다~ 실행은 설치 후 터미널에서 mc라고 하면 실행 됩니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라 크게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을겁니다. 복사는 두 창사이..
라즈베리파이에 VNC로 접속하기 2021. 1. 22. 08:00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여러 IoT 환경 혹은 로봇 운용 기기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그런데 라즈베리파이는 직접 모니터에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기 보다는 원격으로 많이들 접근합니다. 오늘은 그 방법 중에서 원격접속의 개념을 VNC를 이용한 방법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저렇게 라즈베리파이4는 전원선만 이쁘게 연결된것이 보기 좋죠^^. 저 플랫 케이블은 카메라 연결용인데, 지금 카메라를 안쓰더라도 저 케이스가 매번 연결선을 연결하고 해제하기 불편해서 케이블만 먼저 연결해 두었습니다.먼저 raspi-config에서 VNC 설정을 enable 시킵니다.~그리고 vncserver -geometry 1280x1024로 해상도까지 정한 다음 vnc 서버를 기동합니다.그리고 나타난 접속 IP와 port 번호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