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sts by PinkWink

(1393)
ARDUnity를 이용해서 튀는 공(bounced ball)의 방향에 따라 아두이노의 LED를 유니티에서 끄고 켜기 2016. 5. 20. 08:00 새로운 무언가를 익히고 또 공부하는 것은 참~ 재미있습니다. 이런 저런 지식들이 쌓여간다는 일종의 묘한 쾌감이 있지요.~ 물론 저처럼 몹시 기초스러운 것만 야곰야곰 쉽게쉽게 익히는 얍삽함(^^)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말이죠^^. 아무튼 요즘 제가 새롭게 취미처럼 시작한 것이 유니티(Unity)와 아두이노(Arduino), 그리고 그 사이를 연결해 주는 아두니티(ARDUnity)입니다. 아주 재미나게 보고 있죠^^ 최근 두 세개의 글도 포스팅했구요.^^ 앞선 글들은 모두 아두니티가 제공하는 예제를 놓고 진행을 했는데요. 오늘은 처음으로 그냥 맨땅에서^^ 살짝 진행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아 그렇다고 뭐 처음부터 예제를 제가 만들었다는 것은 아니구요. 아두니티가 제공하는 예제를 보고 익혔죠^^이름에도 ..
수술용 로봇 다빈치의 리서치 킷을 이용한 오픈 소스 플랫폼 개발에 관련된 논문 2016. 5. 18. 08:00 얼마전에 저는 복강경 수술 로봇 분야의 세계 1위이자 현재로서는 유일한 로봇인 Intuitive Surgical의 다빈치(daVinci)를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바로가기] 다빈치라는 로봇이 가지는 여러가지 장점이 많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복강경 수술 로봇 시장을 독점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지요ㅠㅠ. 그래서 이미 수술하는 의료진이 이 다빈치라는 로봇이 교과서처럼 적응해서 어떤 수술용 로봇이든 다빈치와 비교된다는 점입니다.ㅠㅠ. 뭐 아무튼 그런 다빈치를 연구하다보면 항상 나타나는 것이 dVRK(daVinci Research Kit)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현재의 다빈치가 아니라, 지금 다빈치는 Xi버젼으로 4세대 로봇인데, 1세대... 초창기 시절 로봇 하드웨어를 가지고 수술용 로봇을 연구할 수 있는..
ROS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할 기초 명령 및 기능 구경하기 2016. 5. 17. 08:00 최근 저는 ROS에 대해 정~~말 간단한 설치하기를 포스팅[바로가기]했는데요. 이번에는 ROS를 들어가기 전에 사용하는 기본적일 것 같은 (사실은 모릅니다. 뭐 ROS로 엄청 대단한 일을 해봤어야 말이죠ㅠㅠ 그래서 ROS의 튜토리얼 페이지에서 보고 감으로 이야기하는 겁니다.ㅠㅠ) 명령과 기능도 소개하고, 또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적을려고 합니다. 항상, 언제나, 참 변함없이, 결국 이번에도 그저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투토리얼을 그저 말 그대로 따라만 한 것입니다.ㅠ.ㅠ. 오늘 글의 모든 기능은 단지 ROS wiki의 투토리얼 페이지[바로가기]에 가보기만 하면 됩니다.뭐 요거 하나는 그래도 한 번 설치하고 뭐 하나를 해봤다고 익숙하네요.... roscore 라고 입력해서 ROS를 기동하죠^^ 이제 ros..
로마의 일인자 3권 - 기원전 104년, 103년, 102년, 101년, 100년의 로마 2016. 5. 16. 08:00 최근 읽기 시작한 로마의 일인자가 드디어 끝났네요^^ 방황하던 술라와 로마와 전쟁을 결심한 유구르타, 인생의 반전을 도모하는 마리우스를 축으로 하고, 마리우스와 가족의 관계를 맺은 카이사르 가문의 이야기가 나오던 기원전 110년부터 기원전 108년까지의 1권[바로가기]과, 유구르타의 패배와 술라의 두각, 마리우스의 일인자를 향한 행보, 울리우스 카이사르의 부모의 만남^^, 마리우스가 2번째 부터 6번째 집정관에 당선될 수 있었던 계기가 되는 아라우시오 전투 등의 이야기가 펼쳐지던 기원전 107년부터 기원전 105년까지의 이야기가 나오는 2권[바로가기]을 읽었지요. 이제 이 책의 마지막으로 3권을 읽었답니다.3권은 마리우스가 총 6번의 집정관이 되는 시기까지만 다룬답니다. 이 책까지는 마리우스와 술라는 아..
리눅스 우분투 Ubuntu에서 부팅용 USB 만들기 2016. 5. 13. 08:00 아마 공부를 위해 우분투와 윈도우의 멀티부팅을 선택한 경우, 아마 초반에 여러번 PC를 재설치하게 될 겁니다. 지금 저처럼 말이죠ㅠㅠ. 이전에 윈도우에서 부팅용 USB를 만드는 과정을 이야기[바로가기]했었구요. 그리고.. 그 후 멀티부팅을 관리하는 Grub에서 부팅 순서를 살짝꿍 편집하는 이야기[바로가기]도 했었지요. 또... 멀티 부팅 설정 후에 윈도우만 재설치를 하면 Grub이 사라지는데.. 이를 다시 복구하는 이야기[바로가기]도 했습니다.이번에는 리눅스 우분투에서 부팅용 이미지를 만드는 걸 이야기할려고 합니다. 뭐.. 원체 쉽게 쉽게 만들어 지는게 리눅스니까...말이죠^^딱 보이네요~~ sudo apt-get install unetbootin이라는 명령으로 unetbootin을 설치합니다.설치가 되..
ARDUnity를 이용하여 유니티(Unity)의 Directional Light 속성에 따라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2016. 5. 12. 08:00 최근 몇 일간 저는 Unity의 asset인 ARDUnity를 이용해서 유니티에서 아두이노를 제어하는 글을 시작했네요^^. 처음에는 단순히 ARDUnity의 wire editor에서 구동되는 정~말 기초 예제 하나를 가지고 블럭의 속성을 이용해서 LED를 구동하는 것을 했었구요[바로가기] 그 다음은 2D UI 버튼을 이용해서 LED를 끄고 켜기를 해 보았습니다.[바로가기] 이제는 3D 구성에서 scene의 속성 중 하나를 가지고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하는 예제를 한 번 따라해볼까 합니다.^^ 첫 글이었던 [바로가기]에서 Scene 탭을 누르고...Hierarchy의 Create를 눌러 3D Object의 Plane을 선택해서 바닥을 깔아줍니다^^그러면 저렇게 Plane과 해당 속성이 보이네요.그리고 다시 ..
[28335] DSP 28335 타이머 인터럽트 사용하기 Timer Interrupt 2016. 5. 11. 08:00 통상적인 절차인지는 몰르지만, 저는 하드웨어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아~주 예전에 80196이라는 MCU를 가지고 역진자 시스템(inverted pendulum)을 제어[바로가기]했었죠. 그 후에는 AVR를 살짝 하다가 그 다음에는 Cortex M3도 살짝 하다가.. 뭐 지금은 하드웨어를 제공받을 때 왠만한 지원은 받으니까 속칭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그냥 제어기를 구현했던 것 같습니다.ㅠㅠ. 그러다가 최근에는 출시된진 좀 되었지만 TI의 TMS320F28335를 가지고 놀고 있는 중이지요... 속칭 28335~~ 얼마전에 GPIO의 몹시 기초적 부분을 건드렸구요~~~ 이번에는 타이머 인터럽트라는 걸 이야기할까 합니다. 뭐 언제나 그렇듯.. 아~~~주 기초적인 이야기지요~~^^ 사실 어차피 제조사인 TI..
ARDUnity를 이용하여 유니티(Unity)에서 기초 UI Button으로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2016. 5. 10. 18:30 생각보다 유니티의 asset인 ARDUnity 유저분들이 많으셨던 것 같습니다. 지난번 ARDUnity를 처음 소개할 겸 살짝 기초 따라하기를 해 보았을 뿐인 첫 소개글[바로가기]이 아주 호응이 높아서 깜짝 놀랬거든요^^. - 뭐 그렇다고 하더라도 공학도의 블로그이기 때문에 뭐 파격적으로 많다 뭐 그런 이야기는 아닙니다.^^. 아무튼 그래서 지난 시간에는 ARDUnity를 불러와서 한 번 구동해 보는 것을 해보았는데요. 이제 조금씩 유니티스럽게 진행을 해보도록 하죠. 그런데 아무래도 유니티의 Asset이기 때문에 결국 기초스러운 유니티 이야기와도 비슷하게 흘러가야 할 듯 합니다. 이제 지난번 글[바로가기]에서 했던 것 중에서저 상태에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전히 Arduino Uno 보드의 13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