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by PinkWink (1408)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두이노에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색상 트래킹 - 팬틸트 구현 Pan Tilt 2018. 7. 18. 08:00 Pixy 영상 센서 개봉기를 최근 올렸었는데요. 그 때는 그냥 Pixy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테스트를 한 번 해보았었죠. 오늘은 아두이노에서 영상 센서의 값을 받아오는 것과 팬틸트를 구현하는 것을 해볼려고 합니다.저렇게만 케이블을 연결하고서 먼저 카메라 앞에 있는 녹색을 인식시키도록 할겁니다.영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버튼을 길게 눌러서 녹색등이 켜졌을때, 녹색을 가까이 가져가고, LED가 진한 녹색일때, 한 번더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일단 녹색 인식 교육은 끝~아두이노와 연결시켰습니다. 뭐.. Pixy 보드는 두 개의 서보모터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이미 가지고 있어서 바로 팬틸트 구현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전 뭐 제가 직접 해보고 싶었습니다.ㅋㅋㅋ예전에 구해놓은 모터 쉴드도 있어서.. 55개월 아가 미바뤼 두 번째 파마 2018. 7. 16. 08:00 55개월된 아가 미바뤼가 생애 두번째 파마를 했습니다. 처음 파마 한 것이 46개월 때였는데요. 벌써 일년이 다되어 가네요 ㅎㅎ응? 저 얌전히 앉아있는 아가 누글까요? 책을 보는듯 하지만, 머리를 하면서 난동을 부리는 아가들이 많기 때문에 미리미리 아이패드를 지급한 상태입니다^^ㅎㅎ 집중 모드입니다. (삐진거 아닙니다.^^)엄마 아빠가 사진찍는거 알고는 포즈도 취하는데 영혼이 없네요ㅠㅠ.시작했습니다. 헉~~~ 너무 태연이 잘 있습니다~^^ 뭐.. 뭔가를 쉴새 없이 먹고 있지만 말이죠^^헉~~~ 잘 견디고 있습니다.^^ㅎㅎㅎ보통 아가들이 엄청 울거나 혹은 너무 싫어할 수 있는데.. 우리 아가 미바뤼는 옆에 아가가 울든 말든 그냥 한 번 쓰윽~ 보고는 다시 집중합니다. 이뻐지고 싶나봐요... 흑흑.. 딸.... ROS에서 아두이노로 만든 로봇 제어하기 - 일단은 LED 깜빡거리기 2018. 7. 13. 08:00 ROS에서도 아두이노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한 번 다룬 적이 있습니다. rosserial을 사용해서 OpenCR 보드의 IMU 값을 받아오는 내용을 다루었던 적이 있네요^^ 이번에도 그렇게 접근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아두이노에 연결된 LED를 끄고 키는걸 해볼려구요~ (물론 언제나 그렇듯 초보적 내용입니다. ㅎㅎ^^) 아두이노 설치및 세팅 아두이노를 다운 받아서 HOME/에 tools 폴더에 복사해두고, 아두이노를 한 번 실행하고 나면 위 그림처럼 HOME에 Arduino폴더가 또 하나 생깁니다. 그 안에 libraries 폴더도 생기구요... 거기로 가서 작업하는게 좀 편하죠.^^거기서, rosrun rosserial_arduino make_libraries.py . 위의 명령.. 어치 가족. 그 후 이야기 ~ 2018. 7. 11. 08:00 얼마전에 저희 집에 어치 가족이 둥지를 틀었다는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그 때 그 글은 6/4일에 포스팅했지만, 실제 어치 가족을 저희가 발견한 건 5월 23일경입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약 20일 후인 6월 10일경 아기 어치들은 모두 독립하고, 저희 곁을 떠났지요. 이번 글은 지난 번 어치 소개에 이어서 독립 직전 어치 가족의 기록입니다.^^어치 가족에게 가장 관심이 많았던 건 우리 딸 아기 미바뤼지요^^. 그래도 베란다 문을 열지 않았습니다. 물론 우리딸이 서서 저렇게 있는 것 만으로도 엄마 어치는 살짝 긴장했겠죠^^이제 털도 다 자라고 저렇게 이목구비가 뚜렸해졌습니다.^^ 이때가 아마 2주쯤 지났을때였겠네요...지난번에도 이야기했지만, 어치들의 집은 정말 깨끗합니다.^^사진찍는 사람을 구경하는 건지.. Pixy Vision Sensor 영상 센서 개봉 및 간단 테스트 2018. 7. 9. 08:00 어찌어찌 하다가 영상 센서 vision sensor라는 아이가 보이길래 정말 많은 우여곡절 끝에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어떤 아이인지 너무 관심이 가더라구요~ 왼쪽은 비전 센서, 오른쪽은 팬틸트 기구물입니다.^^두 박스를 모두 해체 했더니 저렇게 구성품이 많은데.. 응? 케이블 타이가... 네 이 제품은 케이블타이로 기구를 고정하는 획기(^^)적인 시스템이랍니다. ㅎㅎㅎ조립은 어렵지 않게 지나갈 수 있었습니다.저 화면에 있는 금속 핀이 팬틸트 중에서 tilt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뭐 투박하고 딱 싼 느낌의 팬틸트 기구물이지만, 비전 센서에 거는 기대가 있으니 참기로 하죠^^서보모터와 연결하는 부분이 좀 어려웠습니다. 조립 설명서의 서보모터와 선 색깔이 달랐거든요ㅠ.ㅠ 뭐.. 우분투나 민트에서 화면 밝기 조절이 되지 않을 때 - xbacklight 2018. 7. 6. 08:00 최근.. 우분투 16.04를 다시 설치했는데 이유는 알 수 없는데... 화면 밝기 조절이 되지 않더라구요. 설정에서 되긴 하는데, 그게 유지 되지 않고 재 부팅하면 또 그대로이더라구요.ㅠㅠ. 에휴... 리눅스쪽은 이럴때 꼭~ 해법이 있죠^^먼저.. sudo apt-get install xbacklight로 xbacklight라는 아이를 설치해줍니다. 이 아이가 오늘의 주인공이죠^^그리고 그냥 xbacklight라고 입력해보면 제 화면이 42네요.. 어두워요ㅠㅠ.뭐가 맞는지 조절해합니다. xbacklight -set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초기값 42에서 출발해서 60으로 갔다가... 80까지 가보니 약간의 overshoot인것 같아서.. 70으로 수렴했습니다. (몹쓸 개그.ㅠㅠ)그리고... 시작프로.. 우리나라 지도그리는 모듈 배포 - 인구소멸위기지역, 여성인구비율 등등 2018. 7. 4. 08:00 아주 예전에 혜식님의 블로그를 참조로 우리나라 지도 그리기를 해본 적이 있는데요.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해서 우리나라 인구 소멸 위기 지역도 시각화를 했구요. 문재인 대통령님이 당선되던 19대 대선결과를 분석하던 글에서도 이용했었죠. 그리고 이 방법은 최근 제가 집필한 파이썬으로 데이터 주무르기라는 책에서도 활용을 했었죠. 그리고 또 제가 토요일마다 진행하는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입문이라는 수업에서도 역시 다루었습니다. 정확하게는 수업에서 사용했었죠. 수업의 난이도 조절을 위해 이제는 다루지 않지만 말이죠^^. 그래도 애써 정리했던 내용인데 사용하지 않게 되어서 살짝 블로그에 기록을 남겨봅니다.^^. 일단, 이 글에서는...라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지도를 그려서 테스트할 소스코드랑 같은 폴더.. 결정트리를 이용한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 2018. 7. 2. 08:00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이라는 주재를 가지고 신경망으로 분류를 했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엔 Keras를 사용했는데요. 이번에는 결정트리 Decision Tree 기법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사이킷런 Scikit Learn을 이용할 거구요^^ 먼저 데이터는 이전에 했던 [Keras]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에서 사용한 엑셀로된 데이터 입니다.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matplotlib inline raw_data = pd.read_excel('titanic.xls') raw_data.info() 필요한 모듈과 데이터를 읽었습니다.데이터가 1300개 정도로 보이지만, 중요 데이터인 age가 null이 있어..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