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t (189) 썸네일형 리스트형 ARDUnity를 이용해서 튀는 공(bounced ball)의 방향에 따라 아두이노의 LED를 유니티에서 끄고 켜기 2016. 5. 20. 08:00 새로운 무언가를 익히고 또 공부하는 것은 참~ 재미있습니다. 이런 저런 지식들이 쌓여간다는 일종의 묘한 쾌감이 있지요.~ 물론 저처럼 몹시 기초스러운 것만 야곰야곰 쉽게쉽게 익히는 얍삽함(^^)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말이죠^^. 아무튼 요즘 제가 새롭게 취미처럼 시작한 것이 유니티(Unity)와 아두이노(Arduino), 그리고 그 사이를 연결해 주는 아두니티(ARDUnity)입니다. 아주 재미나게 보고 있죠^^ 최근 두 세개의 글도 포스팅했구요.^^ 앞선 글들은 모두 아두니티가 제공하는 예제를 놓고 진행을 했는데요. 오늘은 처음으로 그냥 맨땅에서^^ 살짝 진행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아 그렇다고 뭐 처음부터 예제를 제가 만들었다는 것은 아니구요. 아두니티가 제공하는 예제를 보고 익혔죠^^이름에도 .. ROS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할 기초 명령 및 기능 구경하기 2016. 5. 17. 08:00 최근 저는 ROS에 대해 정~~말 간단한 설치하기를 포스팅[바로가기]했는데요. 이번에는 ROS를 들어가기 전에 사용하는 기본적일 것 같은 (사실은 모릅니다. 뭐 ROS로 엄청 대단한 일을 해봤어야 말이죠ㅠㅠ 그래서 ROS의 튜토리얼 페이지에서 보고 감으로 이야기하는 겁니다.ㅠㅠ) 명령과 기능도 소개하고, 또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적을려고 합니다. 항상, 언제나, 참 변함없이, 결국 이번에도 그저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투토리얼을 그저 말 그대로 따라만 한 것입니다.ㅠ.ㅠ. 오늘 글의 모든 기능은 단지 ROS wiki의 투토리얼 페이지[바로가기]에 가보기만 하면 됩니다.뭐 요거 하나는 그래도 한 번 설치하고 뭐 하나를 해봤다고 익숙하네요.... roscore 라고 입력해서 ROS를 기동하죠^^ 이제 ros.. ARDUnity를 이용하여 유니티(Unity)의 Directional Light 속성에 따라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2016. 5. 12. 08:00 최근 몇 일간 저는 Unity의 asset인 ARDUnity를 이용해서 유니티에서 아두이노를 제어하는 글을 시작했네요^^. 처음에는 단순히 ARDUnity의 wire editor에서 구동되는 정~말 기초 예제 하나를 가지고 블럭의 속성을 이용해서 LED를 구동하는 것을 했었구요[바로가기] 그 다음은 2D UI 버튼을 이용해서 LED를 끄고 켜기를 해 보았습니다.[바로가기] 이제는 3D 구성에서 scene의 속성 중 하나를 가지고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하는 예제를 한 번 따라해볼까 합니다.^^ 첫 글이었던 [바로가기]에서 Scene 탭을 누르고...Hierarchy의 Create를 눌러 3D Object의 Plane을 선택해서 바닥을 깔아줍니다^^그러면 저렇게 Plane과 해당 속성이 보이네요.그리고 다시 .. ARDUnity를 이용하여 유니티(Unity)에서 기초 UI Button으로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2016. 5. 10. 18:30 생각보다 유니티의 asset인 ARDUnity 유저분들이 많으셨던 것 같습니다. 지난번 ARDUnity를 처음 소개할 겸 살짝 기초 따라하기를 해 보았을 뿐인 첫 소개글[바로가기]이 아주 호응이 높아서 깜짝 놀랬거든요^^. - 뭐 그렇다고 하더라도 공학도의 블로그이기 때문에 뭐 파격적으로 많다 뭐 그런 이야기는 아닙니다.^^. 아무튼 그래서 지난 시간에는 ARDUnity를 불러와서 한 번 구동해 보는 것을 해보았는데요. 이제 조금씩 유니티스럽게 진행을 해보도록 하죠. 그런데 아무래도 유니티의 Asset이기 때문에 결국 기초스러운 유니티 이야기와도 비슷하게 흘러가야 할 듯 합니다. 이제 지난번 글[바로가기]에서 했던 것 중에서저 상태에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전히 Arduino Uno 보드의 13번.. Unity에서 Arduino 아두이노를 데리고 놀아보자 -ARDUnity- 2016. 5. 9. 16:50 제가 알고 지내는 분들 중에 새롭게 뭔가를 스타트업을 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우연히 어디 구경삼에 놀러갔다가 요즘 근황을 듣게 되었는데요. 그분의 -정확히는 그분들의 아이템을 듣고 아~주 재미있어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한 번 그 분들이 만들어 주신 예제를 테스트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지요. 그래서 요렇게 (제가 맨날 깊이있는 글은 안쓰고 이렇게 편하게 따라하기 수준의 글만 적는) 노는걸 좋아하는 제 습관대로 한 번 따라해 보기로 했습니다.오늘 소개할 아이는 ARDUnity라는 이이입니다. 게임 개발로 유명한 유니티(Unity)를 이용해서 대표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Arduino)를 핸들링해 보는 것이 주요 기능입니다. 그래서 Unity가 가지는 엄청 좋은 S/W 개발 플랫폼과 만나 좋은.. ROS 설치하기 (몹시 초보자용~) 2016. 5. 9. 08:00 아주 예전에 모바일 플랫폼 하나를 개발할 때 부터 관심을 가졌던 것이 ROS라는 Robot Operating System이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소프트웨어들에 비해 ROS는 문외한이 저에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습니다. 왜냐면 뭐 MATLAB과 같은 툴이 아니라 Operating System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더군요. 아직은 뭐 저 따위가 개념을 이야기하는건 우스운 일이구요. 아무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배우고 싶다는 거죠^^. 또 당시에 저는 Linux도 아~주 어려워했으니까요.ㅠㅠ. 그런데 지금은 회사내 개발 환경이 Ubuntu 등의 안~ Windows(^^)라서 익숙해 진 것도 있는데다... 두 분의 친절한 ROS 선배님들의 도움을 받아 살짝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거든요.^^ 한 분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니 3D 프린터 OLO 2016. 4. 15. 08:00 아주 예전에 저는 3D 프린터에 관한 글을 연재했던 적이 있습니다. 물론 3D 프린터에 완전 문외한이 아니라 국산화 작업을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최소한 명목상(ㅠㅠ) 책임자였으니 꽤 가까이에서 지켜보았습니다. 그때의 관심으로 연재했던 것인데요... 요근래 여전히 저의 취미 생활중 하나인 인터넷에서 길 잃고 그냥 멍때리기를 하던 중, 재미있는 아이템을 보았습니다. 바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3D 프린터였습니다. 꽤 재미있으면서 정말 가지고 싶더라구요^^더구나 그 가격이란게... 우와~ $99라뇨... 흠 대단합니다. 물론 기계적 재료비가 아주 절감되었기 때문이겠지만 말이죠^^각 종 선물용 팩키지를 구성했더라구요.원리는 제가 한 번 이야기한 적있는 SLA 방식인 듯 합니다.[바로가기] 저렇게 스마트폰을 넣고그 위..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는 독일 DLR의 수술용 로봇 Miro Surge 2015. 10. 27. 08:30 처음.. 수술용 로봇을 리뷰한 것이 Intuitive Surgical의 daVinci(다빈치)라는 로봇이었는데요.[바로가기] 그리고 나서 최근 독일 우주 항공 센터의 로봇 팔을 소개했었구요.[바로가기] 그 독일 항공 우주 센터가 DLR이라는 곳인데 KUKA와 겁나게 좋은 관계에 있다는 이야기(^^)도 했죠... 그곳 DLR에서 겁나게 잘하는 그~~~ 로봇암 만드는 기술로 수술용 로봇도 만들었답니다. Miro Surge라는 로봇인데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언제나 그렇듯.. 이 페이지의 모든 내용은 그냥~~~ 인터넷으로 조금만 관심있게 찾아보면 다~~~~ 찾을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솔직히... 정말 이쁘게 생겼습니다.ㅠㅠ. 이 로봇은 침대 고정형인데요. 다빈치가 가지고 있는 RCM(Rem..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