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생활/감상하기

깊어가는 가을 한권의 옛 시집을 꺼내 읽다...


고등학교때로 기억하는데요. 도종환 시인의 접시꽃당신이라는 당시에도 발간된지 오래된 시집한권을 우연히 읽게됩니다. 그 시집을 통해, 음악도 아닌 글자로만 만들어진 글도 사람의 마음속에 음악을 울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병으로 먼저 보낸 아내를 생각하며 만든 시라고 하던데, 자칫 신파로 흘러갈 수도 있었을 내용을 당시 10대인 제가 읽고도 큰 느낌을 받았을 정도로 감정의 경계를 잘 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요. 올 가을, 또 왠지 스산한 이 느낌에 먼지가 뽀얗게 앉은 이 책을 발견하곤 그때의 감동도 다시 느낍니다.

앞서 간
아내 구수경의 영전에
못다한 이 말들을 바칩니다.

로 시작하는 이 시집은 결코 슬픔이나 아픔, 외로움을 부각시키려 애쓰지 않습니다. 물론 비어있는 자리에 대한 끝없는 외로움을 토로하긴 하지만, 그 외로움 안에 스스로를 가두고 계속 독자에게도 외로움을 강요하는 듯한 느낌은 없습니다.

우리가 버리지 못했던
보잘것없는 눈높음과 영욕까지도
이제는 스스럼없이 버리고
내 마음의 모두를 더욱 아리고 슬픈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날들이 짧아진 것을 아파해야 합니다.
남은 날은 참으로 짧지만
남겨진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인 듯 살 수 있는 길은
우리가 곪고 썩은 상처의 가운데에
있는 힘을 다해 맞서는 길입니다

- 접시꽃 당신 中에서 -

10대 어린 나이에, 저 구절을 읽고 죽어가는 아내를 곁에 두고 저 글은 자신에게 하는 말인가? 하고 꽤 고민했던게 기억납니다. 당시 TV나 영화나 억지 눈물을 만들어 내던, 듣는 이, 보는 이에게 "이 타이밍에 눈물..."이라고 친절히 알려주던 그런 작품이 아니라, 저렇게도 슬픔을 표현할 수 있구나 하고 생각했었습니다.

또 이 시집에서 전 10대때 한가지 의문을 가지게 된 것도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은 다 그러하겠지만
오월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이가 많은 이 땅에선
찔레 하나가 피는 일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 오월편지 中에서 -

위 구절인데요. 고등학생이던 저는 왜 이땅에 오월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이들이 많다는 거지? 6.25는 6월달인데... 하는 의문을 가지지요. 지금처럼 인터넷이 되는 것도 아니고, 입시공부와 관련없는 내용을 학교에 물을 수도 없어서 결국 그 때는 해결하지 못하고, 저 의문은 대학생이 되어서야 알았습니다. 해결할 수 없던 문제를 풀고 아마 그래서 저는 대학교 1학년때 소위 '운동권학생'이 되는가봅니다. 사실 정작 운동은 귀찮아서 안하는데 말입니다... (도대체 다이어트는 언제 하겠다는 건지....ㅜ.ㅜ)

당신있는 이곳으로 올 때면
내가 노랫소리나 발자국소리로
당신을 불러내러 오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오
바람에 쓸리는 풀잎처럼 발자국소리 귀기울이며
모두 듣고 있는 건 아닌가 생각도 드오

- 인차리3 中에서 -

물론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이야기합니다. 시 제목의 인차리는 아내의 무덤이 있는 곳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는데요. (찾아보진 않았습니다만..)

어릴때는 하긴 나이를 먹은 지금도 사소한 욕심에 조바심내는 제 모습을 보곤 스스로 한심해 지기도 하는데요.

비우지 않고 어떻게 우리가
큰 사랑의 그 속에 들 수 있습니까
한 개의 희고 깨끗한 그릇으로 비어 있지 않고야
어떻게 거듭거듭 가득 채울 수 있습니까

- 영원히 사랑한다는 것은 中에서 -

그런 어린 마음에 저 구절은 너무 짠하게 다가 왔었지요. 어떤 도덕책의 구절이나 성경의 구절보다도 더 진리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좀더 많은 걸 담을려면 좀더 큰 그릇이 필요한건 당연한데, 그러면 좀더 크게, 좀더 많이... 욕심은 끝없게 되는것도 당연한데, 그릇을 그냥 비워버리면 다시 담을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지 않습니까...

동정이라는 것도 어떻게 보면 사치이고, 다른이를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착간인 모양입니다.

남자의 뽀얀 의수가 느리게 흔들리고
손가락 몇 개가 달아나고 없는 다른 손등으로
불꽃 자국 별처럼 깔린 얼굴 위
안경테를 추스리고 있었다
뭉그러진 남자의 가운데 손가락에 오래도록 꽂히는
낯선 내 시선을 끊으며
여자의 고운 손이 남자의 손을 말없이 감싸 덮었다

- 어떤 연인들 中에서 -

사실 이 시집 전체에서 눈물을 흘린 곳은 이 구절이었습니다. 한 손은 의수에 다른 손마저 손가락이 두개 뿐인 남자와 그 연인. 낯선이의 시선으로 부터 남자의 손을 보호해주는 고운 여자의 손...  나도 그렇게 누군가의 상처를 보듬어 주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지금은 오히려 내가 보호받고 싶어한다는 것을 이 시집을 다시 읽으며 알았습니다. 사람은 참 약하다... 하는 생각도 합니다.

그저.. 가을이라 그런지 좀 센티해져서 10대때 읽었던 한 시집을 찾아 읽었습니다. 10대때 부모님 몰래 이불 뒤집어 쓰고 울었던 책이 딱 두 권이 있는데, 이 책이 그 중 한권이네요. 지금 읽으니 또 새롭습니다. 꽤 오래된 책입니다만... 혹시 안읽어보셨다면 살짝 한번 읽어보세요. 감정을 좀 건드리긴 하니, 이런것에 태생적으로 알러지 반응이 있으신 분들은 권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