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의 첫 글을 젤리비관련 글로 올리네요^^ 로봇 젤리비를 소개했던 적이 있습니다. 로봇 젤리비는 저의 두 번째 책인 생각대로 블록코딩 1권과 2권에서 하드웨어 파트를 완성하면 만들어지는 로봇입니다. 그런데 많은 독자들께서 책의 용도외에 많은 활용을 하려고 하니 약간씩 한계를 만나게 되신거죠. 그래서 로봇 젤리비의 확장 기증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헉~ 뭔가 멋지지 않나요? 네 일단 집게를 추가하게 되었죠. 아직 이 사진들은 프로토타입이라 실제 공개될때는 조금 다를겁니다.
왼쪽에 집게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모터 드라이버와 블루투스를 포함한 확장 보드와 집게가 보이네요^^
초음파센서와 서보모터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이 초음파센서 모듈은 아쉽게도 현제는 3권에는 포함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제 이 보드를 사용하게 해드려야 하는데요. 문제는 이렇게 서보모터를 여러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 보드는 Adafuit의 Servo driver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게 블록코딩으로는 바로 만들 수가 없습니다.ㅠㅠ. 오늘은 mBlock이 지원하는 확장기능으로 블록코딩 블록을 만들어 볼까 합니다.
먼저 어떻게 확장 모듈을 만드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mBlock의 확장 메뉴에서 확장 관리를 누르고
Demo를 찾는 겁니다. Demo를 설치하고, 난 후 상단의 설치됨을 눌러서 설치된 확장 모듈 중에 Demo를 찾아서 소스보기를 누릅니다.
그러면 폴더가 나타나는데, Demo를 복사해서 원하는 이름의 폴더를 하나 더 만듭니다. 저는 이 이름을 jellibi_addon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확장 관리에 가보면 jellibi_addon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또 하나 할 일이 서보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adfuit의 github에 가서 cpp와 h 파일을 받습니다.
그 파일의 이름을 변경해서 위 그림 처럼 넣습니다. 해당 파일을 열어서 Adafuit_PWMServoDriver를 모두 PWMServoDriver로 변경합니다. 왜 이렇게 했냐면 아두이노에서는 잘 동작하게 하려면 위 모듈을 라이브러리로 설치해야하는데, mBlock에서도 그렇게 하려고 했더니 라이브러리 추가 설치가 별도로 독립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일종의 namespace 혼돈이 일어니지 않도록 작업한 것입니다.
이제, 아두이노에서 위의 심플한 코드를 테스트해보고 이상이 없으면...
Demo에서 복제한 jellibi_addon 폴더에 PWMServoDriver.cpp와 PWMServoDriver.h를 src 폴더에 넣고, jellibi_addon.s2e 파일만 편집을 합니다.
나머지는 건드리지 않아도 되지만, 위와 같이 넣어줍니다. 저 그림 윗 부분은 개인 설정에 가까워서 바로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이제 jellibi_addon을 켜고~
이렇게 확장 블록이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 수 있는거죠^^
이 이 방법은 mBlock의 아두이노 모드에서만 잘 동작합니다. 스크래치 모드는 어렵더라구요ㅠㅠ.
이제 시리얼포트를 연결하고~
아두이노에 업로드까지 해서 모터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이제~~~ 확장 모듈을 관리하는 mBlock의 사이트에 가서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그리고~
만들어둔 확장모듈을 잘 zip핑해서 드래그해서 넣어두면 됩니다.
이제 이렇게 깔끔하게 우리 젤리비 서보드라이버 확장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소스코드가 궁금한 분들은 저 모듈을 설치해서 확인하면 되겠죠^^
'Robot > Block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에서 마이크로 파이썬 개발 환경, 그냥 REPL과 Sublime Text 사용하기 (16) | 2019.04.22 |
---|---|
Cortex M4 - pyboard 테스트. LED 깜빡거리기 ^^ (14) | 2019.04.18 |
젤리비를 BT를 통해 휴대폰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준비해 볼까요 (22) | 2019.01.14 |
젤리비 서보 확장 보드 사용하기와 mBlock 확장 기능 사용하기 (24) | 2019.01.03 |
저의 세번째 책 - 생각대로 블록코딩 2권 - 라인트레이서 만들기가 출판되었습니다. (36) | 2018.09.03 |
Mu Editor를 이용한 마이크로비트(Microbit)에서 마이크로파이썬(MicroPython)으로 코딩하기 (12) | 2018.08.13 |
ESP8266에서 upycraft를 이용한 MicroPython 사용하기 (26) | 2018.08.01 |
블록코딩 책 - 생각대로 블록코딩 - 저의 두번째 책이 출판되었습니다. (26) | 2018.07.23 |
이런 실체와 함께라면 더더욱 흥미로운 생각이 많이 들 것 같아요.
시간이 흐르면서 더 멋진 것들이 탄생하겠네요. ^^
ㅎㅎ 네. 이렇게 덕업이 일치하면 참 좋을 텐데요^^
젤리비의 확장 기능을 만드셧군요..
대단해 보입니다 ㅎ
곧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할게요~^^
제어린시절엔 과학상자라고, 무언갈 만들고 모터를 조작하는게 전부였는데...로봇코딩이라니 대단하네요
아주 재미있답니다^^
오랜만에 재미있는 로봇 관련 글을 올려 주셨네요 어렵지만 잘 보고 갑니다
아~ 네 감사합니다.^^
무언가 흥미롭고 신기해 보이기도 합니다
로봇 젤리비의 확장보드에 대해 알고 갑니다.. ^^
ㅎㅎ 네 감사합니다.^^
드뎌 제3권이 나오는군요!
로봇 제작은 주문 제작하셨는지요~
ㅎㅎ 또 누군가의 노력이지요^^
대단합니다. 존경합니다.
헉~ 다들 화이팅입니다.^^
ㅎㅎㅎ 정말 집게 추가로 숨은 상상력을 자극하게 하는 비주얼이네요 젤리비 로봇 만드셨던 독자분들께 신나는 소식이 될 것 같네요ㅎㅎ 저도 이곳에서 본게 있어서인지 저번 박싱데이에 딸에게 로봇 하나 사줄까 엄청 고심했는데 가격이 후덜덜 해서 멈칫멈칫^^;;; 하다 내려놨어요ㅎㅎ 언젠가 딸에게 로봇을 스스로 작동시키는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고 싶네요. 해피 주말 되세요^^
열심히 놀아야죠^^. 재미있게 놀수록 좋은 결과가 나오는것 같습니다.^^
더 많은 기능이 추가 탑재된 업그레이드된 젤리비네요.^^
슬픈 이야기가 있지만, 그렇습니다.^^
멋진데요~ 잘보고갑니다~
네.. 감사합니다.^^
로봇코딩 볼수록 신기한거같긴해요. 이번에는 젤리비가 나왔나보네요. 앞으로도 업그레이드된 코딩법 기대됩니다.
열심히 재미있는 것을 보여드릴께요~^^
비밀댓글입니다
네~ 연락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