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제가 직접 쓴 글이 아니라, 저희 PinkLAB의 유투브 채널의 공개 강의 영상들을 읽고, 따라한 한 수강생의 글을 제 블로그에 공유한 내용입니다.
https://youtu.be/HwFM9CaZKbA?si=uU7lswJANhTFvYnD
안녕하세요,
오늘은 [ APmode 셋팅으로 라즈베리파이보드를 공유기로 만들기 2 ] 강의를 듣고 글 올려봐요.
오늘 구름은 조금 색이 달라요. 저는 이런 색도 너무너무 좋아요. 오묘한 쿨그레이 + 웜그레이의 집합체 !
컴퓨터를 오래 보다보니 눈이 건조해서 멀리 , 또 가까이 자주 보려고 해요.
오늘도 수업 내용으로 ...!!!!
라즈베리 파일을 재부팅했어요. 일단은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고 재부팅만 했어요.
여기 보시면 와이파이 설정이에요. 공유기에 보면 여기 pw_RPi2 , 아까 우리가 만든 공유기가 떴어요.
공유기가 떴다는 사실이 중요해요!
재부팅 했구요,
와이파이가 나타나요.
아직 와이파이 접속하시면 안돼요. 왜냐면 인터넷에 연결을 해야하기 때문이에요.
일단, 다시 재부팅을 강사님께서는 하셨기때문에 들어가요. 192.168.0.173 이게 강사님거예요.
여기 들어가서 떴다는 것은 이제 알았어요.
이제 뭘 해야하냐면, 와이파이 설정을 할 수 있는 걸 만들거예요.
나노 원래는 타이핑해서 직접 해도 되는데요, 여기서 실수가 많이 일어나요.
그래서 파일을 위에다 만들거예요.
그러니까 setup.sh라는 파일을 루트에다 홈에다 만들거예요.
여기 여기 들어가는 이 코드요. 이 코드는 역시 여기 또 있어요. 여기 RPi study 안에 있어요.
copy raw file 하시구요 !
붙여넣으시구요.
이건 유저한테 SSID, pw 받아서 접속하는 것, 여기서 말하는 SSID란 뭐냐면, 실제 내 wifi에요.
내가 일하는 공간, 내가 작업하는 공간에서의 와이파이를 얘기해요.
ctrl + x + y + enter 빠져나가구요,
이제 연결을 시켜야해요.
이제 이 와이파이에 들어가요.
여기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들어가서
여기 pw_RPi2 에 들어가요.
강사님께서 암호를 12345678 한 다음에 느낌표를 하나 붙이셨어요 . 영상에서는 빠져있는데요,
느낌표를 하나 더 넣었어요.
인터넷은 안돼요. 그러고 난 다음에 연결이 됐어요.
한가지 주의하셔야 할 건, 윈도우 유저들 같은 겨우에는 첫 번째 단계가 약간 문제가 있어요.
어떤 문제냐면.. 신호가 좋은 걸 먼저 접속하기 라는 옵션이 있어요.
그래서 그걸 찾아셔 끄셔야해요.
그러고 나면 와이파이가 바뀌었어요. 공유기가 바뀐거예요.
공유기가 바뀌었으니 원래 내가 접속하던 ssh가 아니예요.
이제 번호 입력이 안돼요. 내가 원래 접속하던 ssh 가 아니예요.
그래서 접속하다 ssh 바꿔야해요.
어떻게 하라네요. 아이디를 모르는데 ? 아니에요.
강사님께서 강제로 주신 거예요. 강제로, 앞으로는 무조건 192.168.4.1을 쓰라고 한 거예요.
라즈베리 파일을 공유기로 바꿨기 때문에 그 공유기에 접속해서 라즈베리 파이에 들어가는 이 IP는 고정이예요.
강사님께서 여러번 들어가시던 ip라서, 그래서 수정을 좀 해야해요.
ssh 할 때 여러 기계에서 잘못 된 경로로 들어가는 것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ssh 라는 경로에 known_hosts 라는 것에 들어가요.
이건 강사님 pc 설정이예요.
여기서
192.168.4.1 이걸 ctrl + k 해서 끄시면 돼요.
지우시면 돼요.
같은 ip인데 다른 기기에서 ssh 들어갈 때 너 혹시 잘못 된 거 아니냐 묻는거거든요.
그래서 그걸 끄시고 이런 에러가 뜨는 경우에,
그러고 난 다음에 다시 접속을 하시면 돼요.
yes!
이렇게 같은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했는데, 공유기가 바뀐거예요.
라즈베리 파이라는 공유기로 바뀐 거예요. 이 라즈베리파이에서 접속을 했기 때문에 아직 인터넷이 안 된단 말이예요.
그래서 얘를 인터넷과 붙여줘야해요. 얘를 방금 그 설명을 강사님께서 해 주신 거예요.
인터넷에서 알아보는 명령이 이게 있어요. 여기 있구요,
혹은 이렇게 간단하게 접속 해 볼 수도 있어요.
강사님께서는 이 명령을 한 번 써 보셨어요.
목록을 보는 거예요.
터미널에서 라즈베리파이에서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목록을 보는 거예요. 이렇게 떠요.
회사에서 하고있으니까...PinkLAB_5G 이걸로 접속을 할 거예요.
아까 만들어 둔게 있어요. ls 해서 보시면 wifi_setup.sh 라는 파일을 만들어 뒀단 말이죠.
그래서 여기에 sudo chmod 777 wifi_setup.bash 로 권한을 줘요.
색상이 바뀌었어요. 실행가능한 상태예요.
이 상태에서, 와이파이 셋업 이걸 줘요. 그럼 이제 ssh 입력을 받아요.
나는 PinkLAB_5G에 들어가라. 이제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과정이예요.
엔터를 치구요, 그래서 연결을 시켰어요.
강사님 PC도 인터넷이 끊어져 있는 상태였거든요.
왜냐면 라즈베리 파이에서 만든 공유기에 들어갔으니까요.
이제 연결이 다 됐어요.
이제 강사님 PC도 인터넷이 돼요. 이렇게!
어느 공유기로 ? 이 공유기로 !
라즈베리파이라는 공유기를 만들어 두고 거기 들어간 거예요.
이해 되셨을까요 !
이제 다시 한 번 정리 해 볼게요.
지금 이 영상은 ap모드를 만들어요.
라즈베리파이를 공유기 역할을 하도록 만든 거예요.
그리고 내 pc 이 공유기로 들어간 거예요.
그리고 얘는 원래 사무실에 되는 좋은 와이파이에 접속을 시켜 놓은 거예요.
이렇게 해 두면 장점이 뭐냐면, 상황을 한 번 가정해볼게요.
출장을 갔어요. 내 pc 라즈베리파이와 혹은 라즈베리파이처럼 쓰는 어떤 로스가 설치된 우분투가 설치된 pc를 가지고 갔어요.
갔는데 거기에서 얘까 아직 인터넷에 연결이 안 된 거에요.
내 pc가 있어요.
그럼 내가 얘 ip를 알아내려면, ssh 접근하고싶어서 ip 알아내려면, 또 어떻게 해야할까요?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붙여야하잖아요. 인터넷 연결을 시켜야하니까요,
그런데 이렇게 하지 않고 내 PC에서 여기에 구축해 둔 공유기에 접속을 하는 거예요.
공유기를 이용해서 여기 접속하는 거지만, 표현을 이렇게 할게요.
그러고 터미널에서 SSID랑 비밀번호, 이 공간에서의 와이파이 정보를 알려주면 인터넷이 연결돼요.
그럼 나는 또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거예요.
이게 또 하나 편한게 뭐냐면요,
얘가 공유기가 되니까, 로봇을 여기에 딱 굴렸다고 생각을 하면 이렇게만 네트워크 독립이 되는거라 합니당..!
이제 어려운 환경설정이거의 끝났어요.
그리고 간혹 윈도우 유저들께서는 네트워크 설정에 가셔서 DNS 서버를 8888이라고 맞춰 주셔야만 되는 경우도 있어요.
이것도 주의를 해 주세요.
방금 전에 설명 한 것 까지 끝났어요. 정말 대단한 일을 하신거랍니다!
여기까지 환경설정이에요. 여러분들이 절대절대 오해하시면 안되는게!
라즈베리파이에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붙이셔도 된답니다!!!
근데 강사님께서는 조금 더 쾌적한 작업환경을 권하기 위해서 환경 설정을 알려주신거랍니다. 오해 없으시면 좋겠다고 하셨답니다.ㅋㅋ
오늘도 정말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
'Hardware > SBC (rasp, jetson, latte pan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i5] 1-8. AP mode 셋팅으로 라즈베리파이보드를 공유기로 만들기 1|산.기.정.| (0) | 2025.09.04 |
---|---|
[RPi5] 1-7. xhost 설정을 라즈베리파이 부팅할 때 자동으로 하기|산.기.정.| (0) | 2025.09.02 |
[RPi5] 1-6. Windows에서 VNC 뷰어 실행하기|산.기.정.| (3) | 2025.08.29 |
[RPi5] 1-5. VNC 서버를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하는 과정|산.기.정.| (4) | 2025.08.27 |
[RPi5] 1-4 MS Windows의 명령프롬프트로 SSH 연결하기|산.기.정.| (0) | 2025.08.22 |
[RPi5] 1-3 SSH로 라즈베리파이5에 Python 개발 환경 구축하기 |산.기.정.| (2) | 2025.08.18 |
[RPi5] 1-2 라즈베리파이5에 Ubuntu24.04 설치하고 SSH 연결하기|산.기.정.| (5)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