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LCD라고 부르는 장치가 있습니다. 아두 예전에 한 번 ARM Cpu에서 다뤄본적[바로가기]이 있는데요. 그때가 2009년이네요ㅠㅠ. 아무튼 그 시절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다룰때 LCD를 다루는 부분이 꼭 필요했으며 그 부분 학습이 끝나면 그래도 어느 정도 MCU를 다룰 수 있는 기본은 되었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 후 아두이노야.. PC와의 통신이 편리해서 별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는데요. 그래도 필요한 부분도 있을거라고 생각하고 또 검색을 하던중... 제 자리 옆에.. 꽤 귀여운 아이가 있더라구요^^
LCD는 데이터 핀이 꽤 많은데요. 이를 다 연결하고 나면 아마 아두이노에서 남는 핀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제 자리 옆에서 굴러댕니는 저 아이는 다시 추가로 보드가 하나 붙어서 핀이 간편하더라구요. 그래서 관심을 가졌죠. I2C 통신을 통해 아두이노와 연결되는 보드를 저렇게 가진 것입니다.^^
연결은 저렇게 심플하게 진행해 주면 되겠습니다. 아.. 이제품은 [바로가기]에 가시면 구매가 가능할 것 같아요^^ 제가 요즘 관심있게 보는 메카솔루션이랍니다.
아무튼 그렇게 다 연결하고 나면... 저렇게 됩니다. 이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죠^^ 이쪽 메이커 세계에서는 나름 엄청난 쇼핑몰인 DFROBOT[바로가기]의 결과물을 가지고 나름대로 배포되는 I2C LCD 관련 아두이노 라이브러리들이 다수 보이는데요. 저는 [바로가기]에서 받았습니다. zip으로 받아서, 아두이노 IDE에서 zip 라이브러리를 그 상태로 바로 등록가능한 스케치->라이브러리포함하기->zip 라이브러리 추가 메뉴로 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냥 심플하게 예제만 실행하면.. 안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I2C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아두이노의 playground에서 i2c scanner[바로가기]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를 받아서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 -------------------------------------- // i2c_scanner // // Version 1 // This program (or code that looks like it) // can be found in many places. // For example on the Arduino.cc forum. // The original author is not know. // Version 2, Juni 2012, Using Arduino 1.0.1 // Adapted to be as simple as possible by Arduino.cc user Krodal // Version 3, Feb 26 2013 // V3 by louarnold // Version 4, March 3, 2013, Using Arduino 1.0.3 // by Arduino.cc user Krodal. // Changes by louarnold removed. // Scanning addresses changed from 0...127 to 1...119, // according to the i2c scanner by Nick Gammon // http://www.gammon.com.au/forum/?id=10896 // Version 5, March 28, 2013 // As version 4, but address scans now to 127. // A sensor seems to use address 120. // Version 6, November 27, 2015. // Added waiting for the Leonardo serial communication. // // // This sketch tests the standard 7-bit addresses // Devices with higher bit address might not be seen properly. // #include <Wire.h> void setup() { Wire.begin(); Serial.begin(9600); while (!Serial); // Leonardo: wait for serial monitor Serial.println("\nI2C Scanner"); } void loop() { byte error, address; int nDevices; Serial.println("Scanning..."); nDevices = 0; for(address = 1; address < 127; address++ ) { // The i2c_scanner uses the return value of // the Write.endTransmisstion to see if // a device did acknowledge to the address. Wire.beginTransmission(address); error = Wire.endTransmission(); if (error == 0) { Serial.print("I2C device found at address 0x"); if (address<16) Serial.print("0"); Serial.print(address,HEX); Serial.println(" !"); nDevices++; } else if (error==4) { Serial.print("Unknown error at address 0x"); if (address<16) Serial.print("0"); Serial.println(address,HEX); } } if (nDevices == 0) Serial.println("No I2C devices found\n"); else Serial.println("done\n"); delay(5000); // wait 5 seconds for next scan }
코드는 나중에 저도 긁어다 쓸려고~~^^ 아무튼 이걸 실행하고 나면~
저렇게 연결된 장비의 I2C 주소가 나타납니다. 3F네요... 저걸 기억해 둡니다.
이제.. Hello World 에제를 가져다... 아까 발견한 3f... 를 0x3f로 입력한 것이 보이시죠.. 저렇게하고... 예제를 돌리면 ~~~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Hardware > Arduino and Fri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에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색상 트래킹 - 팬틸트 구현 Pan Tilt (16) | 2018.07.18 |
---|---|
아두이노에서 타이머 구현하기 (24) | 2018.05.16 |
너무나 멋진 IMU 모듈 - Sparkfun Razor 9DoF IMU M0 (32) | 2018.04.30 |
아두이노에서 i2c 통신으로 LCD를 간편히 다뤄보자 (24) | 2018.04.23 |
GY86에 있는 지자기 센서 HMC5883L 사용하기 (26) | 2018.04.11 |
아두이노에서 자이로, 가속도 센서 MPU6050 테스트 (38) | 2018.04.04 |
음성 인식이 되는 아두이노 - ArduVoice 아두보이스 (20) | 2018.03.16 |
WeMOS (ESP826) 보드 최초 접근 - 웹브라우저로 아두이노에 접근해 보기 (32) | 2018.03.12 |
캐릭터 LCD를 응용해서 기기의 텍스트 메뉴 LCD로 활용하는 것이로군요~!
꽤 재미있는 분야이지요~^^
LCD에 글자가 나오게하는 코딩이군요.,
이런 눈에 보이는 결과가 나오면 코딩하는 재미도 퍽 있을듯 싶네요.
즐거운 한 주 시작하세요~^^
사실.. 좀 올드한 부품인데.. 여전히 많이들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언제나 시작은 Hello World~! 이지요 ㅎ
딱 그단계까지만 재미있다는 것이 함정이지요^^
저런 결과물을 얻으면 재미도 있겠습니다 ㅎ
ㅎㅎ 그럼요~~^^
언제봐도 반갑지만 어색하기도 한 hello world!! ㅎㅎ
오늘도 멋진 공부를 하셨네요.
넵.. 그랬답니다. ㅎㅎㅎ
어렵지만 보기만해도 님의 실력을 알 수가 있는 글이네요.
오늘도 화이팅하세요!
네.. 즐거운 하루였습니다. ㅎㅎ^^
덕분에 통신에 대한 테스트 잘 보고 갑니다
네~ 감사합니다. 즐거운 저녁되세요^^
LCD로 아두이노 상태표시를 하는데 유용합니다.
7세그먼트 보다 훨씬 편해요.
네.. 그렇죠.. ㅎ.. 전 아마 누가 LCD를 안줘서 안썼나봐요 ㅎㅎㅎㅎ
와우!ㅎㅎㅎ 장치를 조립, 연결하고 코드를 적어 실행해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면 정말 짜릿할 것 같아요. 오늘도 엄지 척! 하고 갑니다^^
앗~ 감사합니다.^^
뭔가 하고자 한것에 대해 결과를 확인할수 있다는건
기쁨일거 같아요 ^^
그러게요~~~^^
i2c는 몇년을 해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머 이리 업체마다 조금씩 다 다르고 함수들을 토막을 내놨는지 ㅠㅠ
UART 처럼 그냥 tx rx만 있으면 좋겠어요
i2c든 uart는 전 다 어려워서... 누가 편하게 만들어준것만 사용하죠 ㅎㅎㅎㅎㅎ
비밀댓글입니다
레오나르도 핀맵에 나와있지 않을까요? 해보지 않아서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