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아주 예전에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로 실험을 꽤 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 때가 아마 7~8년 전인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해서 2009년 6월경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융합해서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인 상보필터라는 개념을 블로그에 포스팅[바로가기]했었죠~^^ 그리고, 다시 그로부터 몇 년 후 학교를 졸업하고, 첫 직장에 과분하게도 연구소장[바로가기]이라는 직함을 받으면서 진행했던 초반부 작품으로 각도 측정 모듈을 출시[바로가기]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제품 개발의 프로세스도 모르면서 그냥 뭐 이렇게 하면 되겠지하고 막연히 밀어부친.. 무책임한 제품이었습니다. 갑자기 이불킥이라도 하고 싶네요ㅠㅠ. 아무튼 그리고나서 이런류의 제품들은 사라져 갔던 것 같습니다. 왜냐면 칩 chip 레벨에서 이미 너무 좋은 제품이 많이 나오고 또 오픈소스로 좋은 코드를 많이 구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러다가 최근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가 하나로 합쳐져 있는 InvenSense의 MPU6050이라는 칩을 포함한 GY-86이라는 모듈을 테스트할 기회가 있었는데요...
잘 생겼죠?^^ 이 아이를 아두이노에서 테스트를 했습니다.~~ 그냥 I2C로 통신하는 아이라 Raw 데이터를 직접 받아도 되지만... 라이브러리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랬더니... i2cDev라고, i2c 통신을 사용하는 센서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주는 정말 멋진 분들의 모임이 나타나더군요~
와우.. 이곳[바로가기]에서 한동안 공부를 좀 해야겠더라구요~ 아무튼...
그곳에서 MPU6050을 찾았습니다.[바로가기]
거기서 예제폴더[바로가기]에 먼저 들어가봤는데요.. 오늘은 저기서 MPU6050_raw와 MPU6050_DMP6를 실행해봤죠~~
아참... 클래서 reference 페이지[바로가기]도 잘 가지고 있어야죠^^
그리고 [바로가기] github 페이지에서는 다양한 제품을 타겟으로 mpu6050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그 중 아두이노
페이지에서 MPU6050을 선택하고 난 후 나타난 페이지[바로가기]를 받아서 아두이노폴더의 라이브러리폴더에 넣어두면 됩니다. 그리고, 파일->예제->MPU6050_raw를 열면 되죠~~
그리고, 아두이노 우노에서는 우노의 SCL, SDA는 각각 GY86과 물리고, 전압은 5V를 v-in에 넣었습니다. GND도 연결하고, INTA를 우노의 D2핀에 넣었습니다. 다음 예제에서 필요하거든요^^
아무튼 저렇게 연결합니다. 아.. 디폴트로 i2c로 접근하는 어드레스는 0x68입니다. AD0에 High를 걸면 0x69로 접근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시리얼 모니터로 받은 값들입니다. 자이로 3개, 가속도 3개의 값이죠^^
이제.. MPU6050_DMP6 예제를 돌렸습니다.
아~ 그전에 코드 117번줄 근처에 있는 OUTPUT_TEAPOT의 define을 주석 해제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예제가 있는 폴더에 보면 Processing이라는 폴더가 있는데요...
그 안에... MPUTeapot.pde 파일이 있습니다. 우와~ 방갑더라구요^^ 한때, Processing 포스팅 많이 했었는데 말이죠^^[바로가기] 아무튼 이 아이를 실행하면...
Processing IDE가 실행되고... PC에서 각도 측정 모듈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참 대단한 세상입니다. 이런걸 단지 데모만으로 구경해 볼 수 있다니요~~^^ 아래는 테스트 장면입니다.~~
'Hardware > Arduino and Fri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Y86에 있는 지자기 센서 HMC5883L 사용하기 (26) | 2018.04.11 |
---|---|
아두이노에서 자이로, 가속도 센서 MPU6050 테스트 (28) | 2018.04.04 |
음성 인식이 되는 아두이노 - ArduVoice 아두보이스 (18) | 2018.03.16 |
WeMOS (ESP826) 보드 최초 접근 - 웹브라우저로 아두이노에 접근해 보기 (24) | 2018.03.12 |
아두이노에서 PIR 근적외선 모션 감지 센서 테스트 (24) | 2018.03.05 |
아두이노 Arduino에서 HC-06 블루투스 Bluetooth 모듈 사용기 (22) | 2018.02.28 |
휴대폰에서 와이파이를 통해 아두이노 제어하기 초간단 예제 - ESP8266과 Blynk (24) | 2018.02.12 |
아두이노에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ESP8266 준비하기 (20) | 2018.02.07 |
와. 간단하게 해볼 수 있다는게, 세상 편해졌다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아두이두와 관련 칩들만 잘 이어 붙이면(?) 시제품만드는게 정말 편리해 진것 같습니다.
이제 무얼만들지만 고민하면 되겠는데.... 무얼만들어야 할지 생각이 안나네요. ^^;;;
참 대단한 세상이라는데 공감을 합니다 ㅋ
비가 오네요..봄비가
동영상까지 작업하시느라고 고생 많으셨겠네요 덕분에 구경 잘 하고 갑니다
동영상보니 완전 싱기방기하네요
근데 진짜 볼때마다 느끼지만 좀 대단하신것 같아요 정말 어째 저런 걸 다~~~~짱짱짱!!!!
함께 일하는 개발자중 한 분이 사내 동호회에서 아두이노를 잠깐 만져보시더니 급히 접으시더라고요.ㅎ
이공계라고 해도 역시 끌려야 팔 수 있는 법. 늘 열심히 파고 계신 모습 잘 보고 있습니다.
잘 정리를 해주셨네요. 이해하기엔 역부족이지만 잘 보고 가요. 늘 고운날로 가득하시길 바래요.
ㅎ 재밌네요. 이렇게 테스트 해 볼 수 있어서요.
잘 보고 갑니다.
칩만 잘 붙이면 되는 정말 대단한 세상인거 같습니다.^^
와, 이런 것도 직접 만져보고 테스트해보고 너무 멋지네요.
저는 컴퓨터 뚜껑 까는 거 자체가 두려워요~^^;
이불킥 단어를 보니... 괜히 인간미가 느껴지네요.
원래 그렇게 발전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
다른 분야지만.. 저도 처음 '팀장'이라는 걸 달았을 때...
그 오만했음을 생각하면 너무 부끄러워집니다. ㅋ
가속 센서 테스트 잘 보고갑니다
우와 정말 간단히(응???) 작업이 되네요 ㅎㅎㅎ
대단하세요 ^^
안녕하세요ㅠㅠ 가속도 센서 검색하다가 PinkWink님 블로그로 왔습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면 충격량을 구할 수 있을거 같은데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지
궁금해서 댓글 남겨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