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PinkWink
검색하기

블로그 홈

PinkWink

pinkwink.kr/m

한 변두리 공학도의 블로그입니다. 재미있어 보이는 것들을 모두 기초스럽게 접근하는 블로그이며... 그보다 더욱 소중한 우리 아가 미바뤼의 발자취를 남겨두는 블로그이기도 합니다.

구독자
4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 스팸 및 댓글 자동 삭제에 대해 ⋯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ROS2에서 ros domain id를 터미널 프롬프트에 표현하기 여러 로봇을 ROS2에서 다루는 경우, 터미널마다 ros domain id가 혼돈되어 실수하는 경우가 자주 있죠. 이럴때 터미널에서 도메인 아이디를 보기좋게 표현되는 방법을 써보면 좋습니다.바로 이렇게요^^ 일단 터미널에서 아래 코드를 넣어보죠.GREEN='\[\e[1;32m\]' BLUE='\[\e[1;34m\]' NC='\[\e[0m\]'PS1="${BLUE}(ID: \${ROS_DOMAIN_ID:-unset})${GREEN}\u${NC}${GREEN}@\h${NC}:${BLUE}\w${NC}\$ "이 코드를 최초 디폴트 터미널에 넣어보겠습니다.그리고 나면 이렇게 됩니다. 만약 unset이 아니라, ros2가 동작하면 default가 0이니 0으로 하겠다고 하면, GREEN='\[\e[1;32m\]'.. 공감수 6 댓글수 1 2024. 11. 4.
  • Ubuntu에서 pci에 연결된 NVIDA GPU 모델이 lspci로 읽혀지지 않을때 NVIDIA GPU를 사용할때 아마도 많이 사용하는 환경이 우분투일텐데요. 저는 우분투 PC로 접근할 때 SSH로 자주 접근해서 먼저 저렇게 접근을 해봅니다. 그리고 우분투에서lspci | grep -i VGA라고 했을때저렇게 그래픽카드의 제조사는 나오는데 모델명이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lshw 명령으로 봐도 그런데요. 이럴때는 sudo update-pciids명령으로 pci 장치를 한 번 업데이트를 해주면 됩니다.그러면~ 저렇게 잘 잡히네요^^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10. 7.
  • 원격으로 Ubuntu에 접속해서 VSCode를 이용해서 Jupyter Notebook 사용하기 최근 자주 이야기했는데, 저는 원격으로 Ubuntu에 ssh로 연결해서 여러작업을 하는데요. 오늘은 그 중에 원격으로 접속한 우분투에서 VSCode로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는 과정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https://pinkwink.kr/1318 Jetson Nano나 라즈베리파이로 VSCODE로 SSH 접근하기젯슨 나노나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소형 싱글보드컴퓨터(SBC)를 사용할때 원격으로 접속을 많이 하실겁니다. 주로 ssh를 많이들 이용하시겠죠. 그런데 이 ssh로 접근을 하면 다른 건 괜찮은데 코드pinkwink.kr일단 ssh로 우분투 PC에 접근합니다. 먼저 pytthon3-pip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설치를 하구요.저는 최근에 GPU를 설정해 두어서, 텐서플로우도 설치를 했습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9. 9.
  • SSH로 연결된 원격 PC에 scp 명령으로 파일 전송하기 (맥 -> 우분투) 저는 맥을 주로 사용하지만 우분투를 또 그만큼 사용하기도 합니다. 주로 맥에서 우분투로 ssh로 접근해서 여러 일들을 하는데요. 여기서 파일을 전송해야할 때가 생깁니다. VSCode를 이용하면 쉽게 옮겨지긴 하지만 가끔 터미널에서 직접 옮겨야할 때도 있어서요.일단, 우분투의 ip를 ifconfig 명령으로 알아두고,맥에서 복사하려는 파일은 cudnn-linux로 시작하는 파일입니다.이렇게scp ./cudnn-linux-x86_64-8.9.7.29_cuda12-archive.tar.xz pw@192.168.0.86:/home/pw/scp 명령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 전송 대상 유저@IP:경로의 형식으로 전송하면 됩니다.우분투에서 다시 확인하면 잘 전송되었네요. 간혹 권한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그럴때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9. 5.
  • TMUX보다 조금 편한 터미널 멀티플렛서 Zellij 우분투나 맥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기본 터미널에서 뭔가를 더 만지작 거리게 되는데요. 일단, 우분투는 기본 쉘인 bash말고 zsh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죠. 저도 블로그에서 그 이야기를 했었던 적이 있습니다.https://pinkwink.kr/1194 Mint 리눅스에서 터미널 쉘을 ZSH로 교체하기17년 12월... 벌써 그 때부터 만 1년하고도 3개월이나 지났네요. 그 때 저는 지금의 마곡 로보티즈가 아니라, 가산동 로보티즈 시절에 오픈로보틱스 행사 중 저의 첫 책인 파이썬으로 데이터 주무pinkwink.krhttps://pinkwink.kr/1450 Ubuntu에서 zsh에서 ROS2 명령이 자동 완성되지 않을 때우분투든, 맥이든 터미널 작업을 하다보면, 점점 zsh를 사용하고 싶어집니다. 일단 이쁘.. 공감수 3 댓글수 2 2024. 6. 6.
  • Ubuntu에서 화면 녹화시 Wayland 관련 에러가 뜰 때 아~주 예전에 저는 우분투에서 화면을 녹화하는 Simple Screen Recorder라는 아이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https://pinkwink.kr/913 우분투(Ubuntu)에서 화면 녹화를 쉽게 할 수 있는 Simple Screen Recorder 우분투에서 작업하다가 블로그나 보고서 등에 첨부하기 위해서 화면을 동영상으로 확보하고 싶을 떄가 분명히 있는데요~~ 오늘은 우분투에서 실행할 수 있는 화면 녹화기 중 Simple Screen Recorder라 pinkwink.kr 이 글은 2016년 글이라 그 후 우분투에서는 레파지토리 등록없이 그냥 sudo apt-get install simplescreenrecorder 이면 설치가 됩니다. 아무튼 설치하고 난 후, 실행을 하면, 위 그림처럼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23.
  • Ubuntu PC로 SSH 접근하려고 할 때 문제가 생기면... 간혹, 우분투를 설치 후 한 번도 ssh를 사용한 적이 없는 상태에서, 다른 기기에서 우분투 pc로 ssh로 접근하려고 하면 안될 때, 혹시 openssh-server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아래 그림처럼 우분투 22.04가 설치된 pc로 제 맥에서 ssh로 접근하려고 하는데요. 먼저 우분투에서 ifconfig 명령으로 접근해야할 ip 주소를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맥에서 유저ID와 IP 주소를 이용해서 접근을 하는데 잘 되지 않아요. 이때는 우분투에서 sudo apt update를 한 번 한 후, openssh-server를 sudo 권한으로 apt install을 해주면 됩니다. 이제 다시 접근하면 잘 되네요. SSH 접근이 처음이면, yes라고 입력도 하고, 우분투 PC의 암..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31.
  • 우분투와 원도우를 듀얼부팅할 때 두 OS에 시간이 안 맞을 때 저는 노트북을 두 대 사용하는데요. 하나는 Mac이구요. 또 하나는 DELL XPS입니다. 델 PC는 윈도우와 우분투와 거의 같은 민트(MINT)를 설치해서 듀얼부팅을 합니다. 그런데 경험한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렇게 듀얼부팅을 하면 윈도우에서의 시간과 우분투에서의 시간이 맞지 않는 이상한 문제가 있습니다. UTC + 9:00 이런 표현을 보신적이 있을 겁니다. UTC는 Coordinated Universal Time 인데요. 지구상에서는 시간이 다 다르지만, 기준이 되는 시간대가 하나 있습니다. UTC입니다.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시간입니다. 이 UTC를 기준으로 몇 시간 앞/뒤인지를 보는 거죠. 우리나라는 UTC + 9시간입니다. 다시, 윈도우는 PC의 하드웨어에 우리나라의 시간을 저.. 공감수 1 댓글수 2 2023. 8. 21.
  • Ubuntu에서 Sublime Text 설치하기 Sublime Text에 대한 글은 몇 번 올렸었는데요. 어떤 자료를 만들다가 다시 한 번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이렇게 글을 다시 작성하게 되었네요. VS Code라는 매우 좋은 아이가 있어서 저도 개발할때는 Code를 사용합니다만, sublime text를 버리지는 못하겠더라구요^^. 일단 뭐 언제나 그렇듯 구글에서 검색하면서 시작합니다. Sublime Text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Download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우분투 설치를 저는 진행하는 거라 Linux Repos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apt로 설치하기 위해 apt를 선택합니다. 이제 한 줄 씩 긁어서 터미널로 복사하면 됩니다. 먼저 GPG Key를 install 하는 코드를 복사해서 CTRL + SHIFT + V를 터미널에서 누르면 붙여넣기가.. 공감수 2 댓글수 2 2022. 1. 5.
  • VSCODE로 SSH로 접근해서 편집 파일을 저장할때 permission 문제 예전에 저는 VSCODE를 이용해서 SSH로 젯슨 나노나 라즈베리파이에 접근하는 방법을 이야기했었는데요. 그렇게 쓰다보면 아주 가끔 권한 문제로 파일을 저장할 수 없다는 에러가 날 수 있습니다. 해당 문장은 Failed to save : Unable to write file 'vscode-remote://ssh-remote' (NoPermissions (FileSystemError): Error: EACCES: permission denied, open) 이렇게 EACCES permision denied라고 나타납니다. 어떤 상황인지 보죠. 해당 내용은 아래 동영상으로도 공개됩니다. 일단 저는 어떤 상황에서 에러를 만났는지 보도록하겠습니다. 먼저 내가 작업할 기기의 계정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편집할 파일.. 공감수 16 댓글수 10 2021. 3. 3.
  • Ubuntu 20.04 (Mint 20.1) CUDA 11.1, cuDNN 8.0.5, Tensorflow 2.4 이번에는 우분투 20.04에서 CUDA 11.1과 cuDNN 8.0.5를 설치하고 이어서 Tensorflow 2.4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화면은 이미 눈치를 채셨을 수도 있지만, 우분투 20.04에 대응하는 Mint 버전인 Mint 20.1 Ulyssa에서 저는 진행했습니다. Ubuntu Focal과 Mint Ulyssa는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위 영상에서도 동일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먼저 cuda toolkit 11.1을 검색합니다. 구글신님을 이용해서~ 오늘 설치할 버전은 CUDA Toolkit 11.1 update 1을 받습니다. 위 그림처럼 Linux -> x86_64 -> Ubuntu -> 20.04를 차례로 선택합니다. 그리고 runfile [local]을 선택.. 공감수 3 댓글수 6 2021. 2. 17.
  • Ubuntu에서 venv를 이용해서 Python 환경 만들기 Python을 가지고 뭘 할때 제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중에는 아나콘다가 있습니다. 아나콘다를 설치하고 conda 환경을 만들면 쉽게 다양한 파이썬 환경을 만들 수 있죠. 그런데 conda를 사용하기 조금 어려울때가 있습니다. 안되는건 아닌데 약간 어려울때가 있죠. 저한테는 ROS를 사용할 때입니다. ROS를 사용할때 약간의 어려움이 있거든요. 그 때 선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은 venv입니다. 본 글의 동영상입니다. 일단 먼저 pip를 항상 최신버전으로 유지하세요. pip3 install --upgrade pip 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python3의 버전이 3.6인건 ubuntu 18.04여서 그렇구요. Ubuntu 20.04여도 괜찮습니다. 위 그림처럼 python3 -m venv.. 공감수 1 댓글수 2 2021. 2. 15.
  • Ubuntu20.04(Mint 20.1)에서 CUDA 및 Tensorflow 설정 제가 가지고 있는 Sub 노트북은 델의 GTX1650이 탑재된 모델입니다. 제 16인치 i9급 맥북과 가격은 비슷(^^)하지요. 저의 맥북으로 mnist 데이터셋을 돌리는 시간의 7분 1 정도 빠르게 동작합니다.^^. 이번에는 제가 새로 Mint20.1을 설치하면서 델 노트북에 설치하면서 설정한 CUDA와 CUDNN설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아시겠지만, 이 글은 추후에 제가 다시 보려는 의도가 더 강합니다.^^ 먼저 설치 OS는 Mint20.1입니다. Mint20.1 Ulyssa는 Ubuntu 20.04 Focal에 대응합니다. 거의 똑 같아서 몇 가지만 유의하면 우분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Mint20.1 Ulyssa가 잘 설치된 상황에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 어떻게든 먼저 잘 지우자.. 공감수 0 댓글수 2 2021. 2. 13.
  • 터미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파일 관리기 Midnight Commander 혹시 예전에 도스(DOS)시절에 mdir이라는 툴을 아시나요? mdir의 재미있는 비화가 있는데 그건 나무위키의 mdir 문서를 보세요. 아무튼 우리가 터미널에서 작업할때 직관적이고 편리한 파일관리툴이 간절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SSH로 접근했을때는 더하죠~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midnight commander입니다. 이쁘게 생겼죠?^^ 일단 상황을 ssh로 내가 원격으로 다른 pc에 들어갔다고 하죠~ 주로 젯슨나노나 라즈베리파이 같은 장비로 접근하겠죠. 여기서 sudo apt install mc 명령으로 먼저 midnight commander를 설치합니다~ 실행은 설치 후 터미널에서 mc라고 하면 실행 됩니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라 크게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을겁니다. 복사는 두 창사이.. 공감수 3 댓글수 6 2021. 1. 26.
  • apt 관련 명령을 사용할때 dpkg lock 관련 메시지가 뜰때 우분투나 민트를 사용할때 아마, 많이 쓰는 명령중 하나는 sudo apt install / update 가 아닐까요?^^ 아무튼, apt 관련 명령을 사용할때 갑자기 아래의 메세지가 나타나면서 아무것도 안될때가 있습니다. sudo apt install ros-melodic-cv-* E: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 open (11: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E: Unable to acquire the dpkg frontend lock (/var/lib/dpkg/lock-frontend), is another process using it? 그러면 아주 난감한데요~ 이럴때는 현재 apt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아무 .. 공감수 5 댓글수 6 2020. 11. 9.
  • Dell XPS 15에서 리눅스 Mint 멀티부팅 및 Wifi 드라이버 잡기 저의 주 노트북은 맥인데요. 지금까지는 맥에서 패러럴즈로 리눅스나 윈도우가 필요할때 잘 방어(^^)하고 있었는데, 점점 리눅스를 가상환경에서 가동하는 것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노트북을 하나 물색하다가, 저의 안타까운 소식을 들으신 한 기부천사께서 저에게 노트북을 기부하셨죠. 응?.. 아무튼 그래서 저는 델 XPS 15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양은 9세대 i9급, 메모리 32기가, SSD 1테라, GTX 1650 흠흠... 이제 아주 예전에 제가 Dell을 사용할 때의 기억으로 돌아가서 다시 이 윈도가 깔린 노트북에 리눅스를 멀티부팅으로 처리하려고 합니다.^^ 먼저 작업하다가 말고 이런...BitLocker 화면을 만나고 싶지 않다면 먼저 작업을 해야합니다. 아 저런 화면 만났다고 뭐 어떻게.. 공감수 6 댓글수 14 2020. 2. 28.
  • 화면 분할이 가능한 터미널 tilix 리눅스의 기본 터미널에서 화면 분할이 되는 terminator라는 아이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비슷한 tilix라는 아이를 소개할까 합니다.설치는 아주 간편합니다.^^그리고 tilix를 실행하면 이상한 워닝이 나타나는데, 그건 위 그림처럼 환경설정으로 들어가서 Run command as a login shell를 선택해 줍니다.Color Scheme도 바꿔주고~분할할거라 약간 의미없는 행동이지만, 터미널 크기도 손봐주고~아~ 이거... 화면을 오른쪽에 분할하는 것은 CTRL+ALT+R이고 아랫쪽에 분할해서 추가하는 단축키는 CTRL+ALT+D입니다. 그런데 이게 제가 사용하는 Ubuntu 18.04의 경우 단축기가 중복됩니다.모든 윈도우 숨김이라는 기능인데요. 제가 우분투에서 저 기능을 사용하.. 공감수 13 댓글수 11 2020. 2. 26.
  • Ubuntu나 Mint에서 폴더의 트리 구조를 확인해 주는 tree 우분투나 민트에서 터미널 작업을 하다보면 하위 폴더의 구조나 파일 배치등을 한 번에 잘 눈에 띄게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 때는 tree라는 아이를 사용하면 됩니다.손쉽게 sudo apt-get install tree로 설치하면 됩니다.그냥 tree라는 명령만으로 실행시점 하위 폴더의 구조와 파일의 위치를 저렇게 볼 수 있습니다.폴더 구조만 보고 싶다면 -d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손쉽게 폴더 구조를 확인해 볼 수 있는 tree라는 아이를 소개했습니다.^^ 공감수 4 댓글수 6 2019. 9. 18.
  • 리눅스 민트에서도 터미널은 terminator를 사용해보자 요즘 제가 리눅스 민트를 조금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마 곧 ROS글을 엄청 많이 적을 것 같습니다.^^. 일단 리눅스 민트는 정말 좋은데, 그리고 그 민트의 터미널도 정말 좋은데, ROS를 사용하려니 화면 분할이 되는 터미널이 간절합니다. 그래서 ... 터미네이터(terminator)를 설치합니다.~~ 이렇게 sudo apt-get install terminator로 아주 손쉽게 설치가 됩니다. 그리고, 나서 terminator를 실행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대부분의 기능은 쉽게 적용됩니다. 지난번에 민트에서 ZSH 적용하기라는 글의 내용대로 터미널에 적용되어 있는데, 터미네이터에도 동일하게 잘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명도까지 잘 조절했습니다~^^ 공감수 6 댓글수 12 2019. 4. 4.
  • 리눅스 민트에서 키보드 배치 Windows 키와 컨트롤(CTRL)키 위치 바꾸기 맥 사용한 지 얼마나 되었다고, 저는 벌써 맥에 너무 익숙해져 버렸습니다. 그러다가 윈도나 리눅스를 사용하면 키보드에서 가장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 바로 윈도 키와 컨트롤키의 위치입니다. 쉽게 말해서 맥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하던 일을 리눅스나 윈도에서 새끼 손가락으로 한다는 건데... 제가 이게 너무 불편하거든요. 맥이 편해요. 그래서 이번에는 리눅스 민트에서 왼쪽 윈도키와 컨트롤키를 변경하는 것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먼저 시스템 설정에서 키보드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나타난 화면에서 배치탭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의 옵션을 누릅니다. 나타난 새 창에서 Ctrl 위치라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메뉴가 펼쳐지는데 위 그림처럼 왼쪽 윈도 키와 왼쪽 Ctrl 뒤바꾸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아주아주 간.. 공감수 7 댓글수 10 2019. 4. 1.
  • Mint 리눅스에서 터미널 쉘을 ZSH로 교체하기 17년 12월... 벌써 그 때부터 만 1년하고도 3개월이나 지났네요. 그 때 저는 지금의 마곡 로보티즈가 아니라, 가산동 로보티즈 시절에 오픈로보틱스 행사 중 저의 첫 책인 파이썬으로 데이터 주무르기라는 책의 저자로서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세미나를 했었는데요. 그 전 부터 조금 알고 지내던 ROS 전도사로 유명한 표윤석 박사님과 세미나 후 치맥을 했더랬죠. 그때 표박사님은 제 세미나가 좋았다, 좋은 책이다, 멋지다 등의 말은 한 마디도 안하시고(ㅜㅜ) 우분투 재단의 어두운 면과 그래서 리눅스 민트를 써야한다는 말씀을 하셨는데요. 그 때부터 저는 그 영향으로 리눅스 민트를 사용했습니다.~~^^. 리눅스 민트 Mint 19.1 Tessa는 우분투 18.04 Bionic과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이런 .. 공감수 12 댓글수 16 2019. 3. 25.
  • Linux Mint에서 ROS 설치하기 최근 ROS Kinetic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 리눅스 민트 Sylvia 버전(18.3)을 맥에서 패러럴즈로 설치했는데요. 이번에는 거기에 이어서 민트에서 ROS를 설치하려구요^^Kinetic 설치 안내페이지로 갑니다. 그냥 이 페이지의 내용을 따라하면 그만인데요. 정말 그런데 말이죠^^ 민트인 경우 딱 하나만 조심하면 됩니다. 그냥 뭐 그렇습니다.^^ 그래도 따라하는 내용을 작성해 보도록하죠^^이 페이지로 들어가면 됩니다.첫번째 설치 명령이 1.2 Setup your sources.list에 있는 내용인데요. 문제는 저 구절이죠. lsb_release -sc? 응?저것만 터미널에서 실행해보면 현재 버전명이 나타납니다. 그런데 ROS Kinetic은 Ubuntu xenial 버전에서 설치되는 거라, 저.. 공감수 4 댓글수 12 2018. 11. 23.
  • 우분투나 민트에서 화면 밝기 조절이 되지 않을 때 - xbacklight 최근.. 우분투 16.04를 다시 설치했는데 이유는 알 수 없는데... 화면 밝기 조절이 되지 않더라구요. 설정에서 되긴 하는데, 그게 유지 되지 않고 재 부팅하면 또 그대로이더라구요.ㅠㅠ. 에휴... 리눅스쪽은 이럴때 꼭~ 해법이 있죠^^먼저.. sudo apt-get install xbacklight로 xbacklight라는 아이를 설치해줍니다. 이 아이가 오늘의 주인공이죠^^그리고 그냥 xbacklight라고 입력해보면 제 화면이 42네요.. 어두워요ㅠㅠ.뭐가 맞는지 조절해합니다. xbacklight -set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초기값 42에서 출발해서 60으로 갔다가... 80까지 가보니 약간의 overshoot인것 같아서.. 70으로 수렴했습니다. (몹쓸 개그.ㅠㅠ)그리고... 시작프로.. 공감수 6 댓글수 12 2018. 7. 6.
  • 우분투에서 맥 스타일의 도커를 구현하는 plank 우분투의 화면이 아무래도 맥이나, 윈도우에 비해 좀 투박하다고 느끼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면.. 살짝 plank를 설치해보는 것도 재미있습니다.sudo apt-get install plank라는 명령으로 설치가 심플하게 되구요~저렇게 화면 하단에 이쁜 모양이 나타나죠^^그리고.. 설치는 응 ? 스펠링이 틀렸네요~저렇게 plank --preferences로 설정을 만질 수 있습니다.뭐 아이콘 크기나 어떻게 숨길지 등등이죠^^제 우분투 화면입니다.^^ 이쁘죠^^ 그나저나.. 저 바다~~ 다시 가고 싶네요.ㅠㅠ. 공감수 11 댓글수 18 2018. 1. 5.
  • 우분투 설치 후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경고 메세지 제거하기 우분투를 설치하고 난 후 부팅할 때 마다 크게 중요한건 아닌데 눈에 거슬리는 메세지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사용하지 않기라는 아이인데요...저런 아이지요^^손쉽게 없애 버릴 수 있습니다. sudo vi /etc/default/avahi-daemon이라고 명령을 주고위에 1이라고 되어 있는 지점에서 r, 0을 연달아 입력하면 됩니다.~~ 저장할때는이렇게 0으로~~~저장할때는... esc키를 입력하고, :wq!를 주면 됩니다. 뭐 별거 아니지만.. 그래도 은근 슬쩍... 팁이라고 올립니다.^^ 공감수 9 댓글수 23 2017. 12. 22.
  • 우분투 16 설치 후 apport 관련 시스템 오류 메세지 해결법 우분투를 신나게 다시 깔고... 기동을 했는데.. 뭔가 이상한 메세지가 뜰 때 기분이 안 좋을 수 있죠...바로 저런 메세지 말입니다. 시스템 프로그램 오류를 발견했습니다.ㅠㅠ. 라는 저 정체모를 .... 오류보고를 누르고 메세지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apport 어쩌고로 되어 있습니다. 보기 싫고... 이유는 모르지만, 눈에는 거슬리니 없애 버리겠습니다.sudo vi /etc/default/apport라고 하시면...이런 화면이 나올텐데요.. 저 enabled=1까지 커서를 옮기고...1 에서 커서가 깜빡거릴때, r키를 입력하고, 0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그러면 이제 부팅할 때 이상한 메세지는 안 보게 됩니다. ^^ 공감수 10 댓글수 22 2017. 12. 15.
  • 리눅스 우분투에서 폴더 보기 옵션을 항상 리스트(목록형)로 두기 개발환경이 우분투일때가 있는데... 살짝... 윈도우랑 달라서 어색할 때가 있죠... 특히 윈도우는 탐색기에서 어떤 폴더의 보기옵션을 바꾸고난 후 다시 들어가 보면 그 옵션이 유지되는데 우분투는 그러지 않기도 하구요... 특히 저는 그냥 목록형으로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우분투는 항상 아이콘으로 보여주어서 약간 슬프기도(^^) 하구요. 오늘은 그 부분을 설정하는 이야기를 할려고 합니다^^먼저 위와 같이 gsettings set org.gnome.nautilis.preferences default-folder-viewer 'list-view'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그럼 [바로가기] 때도 이야기해지만, 이제 부팅할 때 마다 적용되도록 해야죠^^그 방법은 시작 프로그램 기본 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공감수 5 댓글수 6 2017. 4. 7.
  • 우분투 마우스 속도를 느리게 하고 싶다면... 최근 저는 우분투 16.04를 설치했는데요... 한 1년만에 다시 우분투를 만지게 되었고.. 그 1년만에 우분투의 버젼은 14에서 16으로 바뀌어 있더라구요^^ 그런데..ㅠㅠ. 마우스가 너무 빠른거에요... 손에 힘이 너무 들어갈 정도로.ㅠㅠ. 문제는 그냥 설정에 들어가서는 노트북 트랙패드에 대한 설정만 뜨고 마우스는 변경되지가 않더라는 거죠.ㅠㅠ. 그래서 다시 또 인터넷의 바다에서 좀 멍~ 때리고... 혹시 저와 같은 문제를 겪는 분을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먼저 xinput --list --short명령으로 마우스의 id를 획득합니다. 제 경우는 id가 11번이네요... 이제... 위의 xinput -set-prop 11 'Device Accel Constant Deceleration' 1.8로 .. 공감수 14 댓글수 14 2017. 3. 13.
  • 멀티부팅시 Ubuntu 우분투에서 Grub 부팅 디폴트값 조절하기 얼마전에 윈도우와 우분투의 멀티부팅 이야기를 했었는데요[바로가기] 그리고 나서 부팅하면 이제 뭘로 부팅할지 물어봅니다. 그런데 사용자가 입력이 몇 초간 없으면 그냥 제일위에 있는 OS로 부팅을 합니다. 우분투를 나중에 깔았으니 당연히 Ubuntu로 부팅을 하겠죠. 이 디폴트 값을 변경할 수 있는데요... sudo subl /etc/default/grub이라는 명령으로 grub의 부팅 디폴트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subl은 [바로가기]에서 설치한 Sublime text이구요. 여기를 gedit로 하시면 기본 에디터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들 중에... GRUB_DEFAULT=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 순서는 부팅을 처음할때 나타나는 순서로 제 경우는 윈도우가 3번입니다. (아~ 제일 위가 0번입니.. 공감수 3 댓글수 6 2017. 3. 10.
  • Ubuntu 우분투에서 sublime text3 설치하기 제가 Sublime text를 사용하지도 꽤 되네요~[바로가기] 14년 초였으니.. 벌써 만 2년이 넘었네요. 다른 에디터도 많이 사용해봤지만 아직은 이 아이가 너무 마음에 들어요^^. 우분투에서도 사용을 잘 하고 있지요^^먼저... sudu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sublime-text-3이라고 입력합니다. OK~음.. 그리고 sudo apt-get update를 해줍니다. 근데.. 에러가..ㅠㅠ. 이런건 또 자주 만나니까~sudo rm /var/lib/dbkg/lock으로 가볍게 넘어가고... 다시 sudo apt-get update를 해줍니다.이제.. sudo apt-get install sublime-text-installer라고 명령을 주면 그만이랍니다.^.. 공감수 14 댓글수 18 2017. 3. 8.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