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푸시버튼으로 아두니티(ARDUnity)를 이용해서 유니티에서 폭파 효과 주기
한참 유니티(Unity)랑 아두이노(Arduino) 데리고 노는게 즐겁네요. 요즘처럼 뭔가 불안정하고 뭔가 조바심날 때는 확실히 이렇게 스트레스를 풀어주면 딱~ 좋죠. 지난 번에 LED 데리고 노는걸 했으니.. 이번에는 버튼 데리고 노는걸 해보도록 하죠^^
이제... 저 화면도 방갑죠... ㅎㅎ. ARDUnity Asset을 불러서 Wire Edit까지는 이제 쉽게~^^ 아.. 살짝 ARDUnity 메뉴가 활성화 되지 않는다면, 에러가 콘술에 나타나면, NET 설정까지 손보셨겠죠^^. 첫 글[바로가기]에서 이야기 했던 거니까요...^^
이제.. Create Empty를 하나 만들고 ARDUnity라고 이름을 바꾸고, 그 안에 다시 Create Empty로 PushButton이라고 두죠.^^
이제 지난번에 했던 거지만, 복습차원에서 ^^... ARDUnity를 선택한 상태에서 Add Component로 ARDUnity에 들어가서 Ardunity App을 불러줍니다. Ardunity App은 꼭 불러야 하는 필수 Component에요~
그리고, 계속 ARDUnity를 선택한 상태에서 CommSocket의 CommSerial도 호출합니다. 사실상 아두이노 보드와의 통신은 필수이니 이 Component도 필수겠죠^^
그리고...CommSerial의 CommSocket과 ArdunityApp의 CommSocket을 연결해 둡니다. 이제 PushButton을 선택한 상태에서 Add Component의 ARDUnity에서 Basic의 DigitalInput을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DigitalInput의 Owner와 ArdunityApp의 ArdunityApp을 연결해 줍니다. 또, DigitalInput의 Options에서 pin은 2번으로 잡아주구요^^
중간 점검한 번 해볼까요^^ Export Sketch를 하죠~
아두이노 쪽 회로는 저렇게 심플하게 연결하죠... ^^
이제.. 아두이노에서 빌드하고 업로드한다면... 보면
아... DIgitalInput에서 설정에서 PullUp을 해제해야하는데... ㅠㅠ. 뭐 아무튼 동작하는 상황은 보입니다.^^. 계속 가야죠^^
여기서부터는 지난번 글[바로가기]에서 이야기한 건 살짝살짝 생략하니 같이 봐주세요^^ 일단 Plane을 하나 만들어 둡니다.
그리고 Cube를 추가하죠... ARDUnity가 제공하는 빨강색 속성도 가져다 쓰고... Transform속정에서 위치를 위와 같이 잡아주고... Add Component에서 RigidBody도 추가해 줍니다. 그리고 난 다음 Cube를 복사해서 붙여넣죠^^
Cube (3)까지~^^
그리고.. Cube(1)의 위치...
Cube(2)의 위치...
Cube(3)의 위치를 조금씩 다르게 잡아 줍니다.
그러면.. 저런 모양이 되는 거죠^^
이제.. 또 Create Empty를 하고 Bomb이라고 이름 짓겠습니다.^^
위치를 위와 같이 잡아 주시구요^^
Bomb을 선택한 상태에서 ARDUnity가 제공하는 Component중... Physics안에 있는 ExplosionReactor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위 그림처럼 Radius와 Force를 잡고... LayerMask를 Everything으로 잡아 줍니다.^^.
그리고.. 관람을 위한 Main Camera의 위치도 살짝 잡아주구요^^. 혹시 모르니.. 아두이노 스케치도 다시 export하죠... 이제 쇼타입니다.^^.
괜찮나요?^^ ㅎㅎ 점점 재미있네요... 이제 모터를 슬슬 다뤄보고 싶네요^^